본문 바로가기

IT관련 정보

관계 데이터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자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관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구조화하며, 테이블 간의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델이다.

https://velog.io/@odh0112/Database-%EA%B4%80%EA%B3%84%ED%98%95-%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

 

테이블 (Table):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위로, (Column)과 행(Row)으로 구성된다.

 

(Column): 특정 종류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속성

 

(Row): 실제 데이터의 인스턴스

 

튜플(Tuple) : 릴레이션의 각 행

 

카디날리티(Cardinality): 튜플의 수

 

속성(Attribute): 릴레이션 스키마 열

 

차수(Degree): 속성의 개수

 

도메인(Domain):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

 

2. 관계

여러 테이블 간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관계는 주로 기본 키 (Primary Key)와 외래 키 (Foreign Key)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일대일 (One-to-One): 한 테이블의 각 행이 다른 테이블의 한 행과 관련된다.

 

일대다 (One-to-Many): 한 테이블의 한 행이 다른 테이블의 여러 행과 관련된다.

 

다대다 (Many-to-Many): 한 테이블의 여러 행이 다른 테이블의 여러 행과 관련된다

 

3. ER 다이어그램

정의: 엔터티와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엔터티는 테이블을 나타내고, 관계는 엔터티 간의 연결을 나타낸다.

https://itwiki.kr/w/ER_%EB%8B%A4%EC%9D%B4%EC%96%B4%EA%B7%B8%EB%9E%A8

4. ACID 특성

트랜잭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약어로,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고립성(Isolation), 영속성(Durability)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