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자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관계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구조화하며, 테이블 간의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델이다.
테이블 (Table):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위로, 열(Column)과 행(Row)으로 구성된다.
열 (Column): 특정 종류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속성
행 (Row): 실제 데이터의 인스턴스
튜플(Tuple) : 릴레이션의 각 행
카디날리티(Cardinality): 튜플의 수
속성(Attribute): 릴레이션 스키마 열
차수(Degree): 속성의 개수
도메인(Domain):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
2. 관계
여러 테이블 간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관계는 주로 기본 키 (Primary Key)와 외래 키 (Foreign Key)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일대일 (One-to-One): 한 테이블의 각 행이 다른 테이블의 한 행과 관련된다.
일대다 (One-to-Many): 한 테이블의 한 행이 다른 테이블의 여러 행과 관련된다.
다대다 (Many-to-Many): 한 테이블의 여러 행이 다른 테이블의 여러 행과 관련된다
3. ER 다이어그램
정의: 엔터티와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엔터티는 테이블을 나타내고, 관계는 엔터티 간의 연결을 나타낸다.
4. ACID 특성
트랜잭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약어로,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고립성(Isolation), 영속성(Durability)을 나타낸다.
'IT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 설계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0) | 2023.11.04 |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 원리란 (0) | 2023.11.03 |
오늘은 애자일(Agile)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0.26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0.22 |
MVC 패턴이란? (0) | 2023.10.20 |